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백준 15661
- 프로그래머스 네트워크 java
- java 내림
- mysql
- 알고리즘
- 네트워크
- Arrays
- java 올림
- 프로그래머스 도둑질 java
- 백준 17425
- sort
- 백준 16935
- 자바
- 프로그래머스 연속된 수의 합 java
- 프로그래머스 옹알이 java
- 백준 18290
- Codility
- time complexity
- 백준 14391
- java 반올림
- java
- 백준 11723
- 0으로 채우기
- Algorithm
- Math.floor()
- 백준 4375
- Math.ceil()
- 백준 16927
- 프로그래머스 숫자의 표현 java
- 코딩테스트
Archives
- Today
- Total
취미처럼
[JAVA] 예외처리 본문
프로그램 실행 중 어떤 원인에 의해서 오작동을 하거나 비정상적으로 종료되는 것을 에러 또는 오류라 한다.
자바에서는 실행시 발생할 수 있는 프로그램 오류를 에러(error)와 예외(exception) 두 가지로 구분한다.
예외는 에러에 비해 비교적 덜 심각한 상황으로 프로그래머가 관리해야할 예외(exception)와 실행중에 발생하는 에러(runtime exception)로 구분할 수 있다.
예외 클래스는 Throwable을 상속받는다.
자바의 예외 처리는 4가지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다.
1. 예외가 발생한 메서드 안에서 처리(try-catch-finally)
2. 예외가 발생한 메서드를 호출한 곳에서 처리(throws)
3. 강제로 예외를 발생시켜서 처리(throw)
4. 사용자 예외를 생성하여 처리
try {
//실행 프로그램이 작성
//예외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코드
} catch(예외타입1) {
//try블록 안에서 예외 타입1이 발생할 경우 처리할 코드
} catch(예외타입2) {
//try블록 안에서 예외 타입2가 발생할 경우 처리할 코드
} finally {
//예외가 발생해도 실행하고, 예외가 발생하지 않아도 실행되는 코드
}
class InsertZeroException extends Exception {
public InsertZeroException() {
super("0을 입력할 수 없습니다.");
}
}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while(true) {
try {
divisionMethod();
} catch(InsertZero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e.getMessage();
} finally {
System.out.println("마지막 무조건 실행");
}
}
}
public static void divisionMethod() throws InsertZeroException {
Scanner scan = new Scanner(System.in);
int value = scan.nextInt();
if(value == 0)
{
throw new InsertZeroException();
}
System.out.println(9/value);
}
}
'JAVA >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객체 비교 (0) | 2021.03.22 |
---|---|
[JAVA] MessageDigest (0) | 2021.03.22 |
[JAVA] 객체 직렬화 (0) | 2021.03.22 |
[JAVA] 정규식 (0) | 2021.03.22 |
[JAVA] 날짜, 시간 (0) | 2021.03.22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