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Math.ceil()
- java
- 백준 17425
- Algorithm
- 코딩테스트
- 백준 15661
- 백준 16935
- 프로그래머스 네트워크 java
- 백준 14391
- 프로그래머스 옹알이 java
- Arrays
- java 올림
- time complexity
- 프로그래머스 도둑질 java
- mysql
- 백준 11723
- 백준 16927
- 프로그래머스 숫자의 표현 java
- sort
- 네트워크
- 프로그래머스 연속된 수의 합 java
- java 반올림
- java 내림
- Math.floor()
- 알고리즘
- 자바
- 0으로 채우기
- 백준 4375
- 백준 18290
- Codility
- Today
- Total
목록JavaScript/이론 (19)
취미처럼
==은 값만 비교, ===은 type까지 비교한다. typeof null > "object" typeof undefined >"undefined" typeof 1 > "number" typeof '1' > "string" if(null == undefined) { console.log(true); } else { console.log(false); } //true if(null === undefined) { console.log(true); } else { console.log(false); } //false if(0 == '0') { console.log(true); } else { console.log(false); } //true if(0 === '0') { console.log(true); } e..
function 외부함수() { var 변수A; function 내부함수() { 변수A 사용; } } 함수 내부에 만든 지역 변수가 사라지지 않고 계속해서 값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 클로저는 일종의 현상이기 때문에 정해진 문법은 없음 그래도 표현하자면 위의 문법처럼 내부함수에서 내부함수를 표현하고 있는 함수(외부함수)의 변수 A를 사용하는 구조인 경우로 표현할 수 있으며 내부 함수를 클로저 함수라고 부른다. 또한 변수A는 클로저 현상에 의해 외부함수() 호출이 끝나더라도 사라지지 않고 값을 유지하게 된다. var count = 0; function addCount() { count++; return count; } console.log(addCount()); //1 console.log(addCount()..
콜백함수는 주로 함수 내부의 처리결과를 함수 외부로 내보낼 때 사용 function 함수명(callback) { callback(결과) } 콜백 함수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는 처리 부분이 구현 부분과 분리되어야 하는 경우나 구현 부분은 하나로 하고 처리 부분을 다양하게 만든 후 실행 시에 연결해서 사용하는 경우에 적합 function callBack_plus(num1, num2, callback) { callback(num1 + num2); } function result(result) { console.log("두 수의 합은 " + result + " 입니다."); } callBack_plus(5, 5, result); 비동기 : 서버에서 응답 받아온 결과를 기다려 주지 않고 함수에서 return해 버리..
1. 함수 선언식 (function 키워드를 이용하는 방법) function hello(name) { console.log(name); } hello('yujin'); 2. 함수 표현식(함수 리터럴을 이용하는 방법) var hello = function(name) { console.log(name); }; hello('yujin'); 데이터를 만드는 방식에는 리터럴 방식과 객체 방식 두가지가 있다. 리터럴 방식으로 선언하면 객체방식으로 자동 변환되어 실행된다. 타입 리터럴 방식 객체 방식 숫자 var age = 10; var age = new Number(10); 문자 var name ='yujin'; var name = new String('yujin'); 불린 var hot = true; var ho..
배열은 리터럴 방식, 클래스 방식으로 생성 할 수 있으며, 리터럴 방식으로 실행되면 클래스 방식으로 치환되어 실행 //리터럴 방식 var array = ['test1', 'test2', 'test3', 'test4']; //클래스 방식 var array = new Array('test1', 'test2', 'test3', 'test4'); 메서드 설명 join() 배열을 문자열로 변환하여 반환 split() 문자열을 배열로 변환하여 반환 push() 배열 마지막 위치에 배열 요소 추가 unshift() 배열 첫 번째 위치에 배열 요소 추가 splice() 배열 N 번째 위치에 배열 요소 추가 shift() 첫 번째 요소 삭제되며 삭제된 값을 반환 pop() 배열의 마지막 번째 요소를 삭제하며 삭제된 값을..
메서드 설명 getDate() 로컬 시간을 사용하여 일(월 기준) 반환 getDay() 로컬 시간을 사용하여 일(주 기준, 즉 요일)을 반환 getFullYear() 로컬 시간을 사용하여 연도를 반환 getHours() 로컬 시간을 사용하여 시간을 반환 getMilliseconds() 로컬 시간을 사용하여 밀리초를 반환 getMinutes() 로컬 시간을 사용하여 분을 반환 getMonth() 로컬 시간을 사용하여 월을 반환 getSeconds() 로컬 시간을 사용하여 초를 반환 getTime() 1970년 1월 1일 00:00:00부터 현재시간 까지 경과한 시간을 밀리초로 반환 getYear() 로컬 시간을 사용하여 연도 값을 반환. getFullYear() 사용을 권장 setDate() 로컬 시간을 ..
프로퍼티 설명 length 문자열 길이를 반환 charAt(n) n번째 문자 구하기 charCodeAt(n) n번째 문자의 코드 값 구하기 concat(str) 문자열 뒤쪽에 str을 연결해 새로운 문자열 만들기 indexOf(substr) substr 문자열이 위치한 위치값 구하기, 앞에서부터 검색 시작 lastIndexOf(substr) substr 문자열이 위치한 위치값 구하기, 뒤에서부터 검색 시작 match(reg) 정규표현식(reg)를 활용한 문자열 검색 replace(reg,rep) 정규표현식을 활용한 문자열 교체 search(reg) 정규표현식을 활용한 문자열 위치 검색 slice(start, end) start번째부터, end번째 문자열 추출 split(str) 문자열을 str로 분할해 ..
타이머 함수를 일정한 시간마다 특정 구문을 실행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기능으로 전역 객체인 window에 있다. 이름 설명 setInterval() 일정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특정 구문을 실행하는 기능 setTimeOut() 일정 시간이 지난 후 특정 구문을 딱 한번 실행하는 기능 clearInterval() 실행 중인 타이머 함수를 멈추는 기능 1. setInterval() : 일정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특정 구문 실행 //익명함수로 실행 var count = 0; setInterval(function() { count++; console.log(count); }, 1000); //익명함수 대신 add함수를 만들어 파라미터로 추가 var count1 = 0; function add() { count1++;..
Math 클래스는 다른 자바스크립트 코어 객체와 달리 대부분의 기능이 클래스 메서드로 구성되어 있어 인스턴스 생성 없이 즉시 사용할 수 있다. 프로퍼티 설명 PI 원주율 값 abs() 숫자의 절대값을 반환 acos() 숫자의 아크코사인 값을 반환 asin() 숫자의 아크사인 값을 반환 atan() 숫자의 아크탄젠트 값을 반환 atan2() x축과 주어진 점이 이루는 각도를 라디안 값으로 반환 ceil() 숫자의 올림값을 반환 cos() 숫자의 코사인 값을 반환 floor() 숫자의 내림값을 반환 log() 숫자의 자연로그 값을 반환 max() 두 수중 큰 값을 반환 min() 두 수중 작은 값을 반환 random() 0과 1 사이의 난수 값을 반환 round() 숫자와 가장 가까운 정수로 반올림하거나 바..
var arrays = [1, 2, 3, 4, 5, 6, 7, 8, 9, 10]; for(var i=0; i < arrays.length; i++) { console.log(arrays[i]); } for(var i in arrays) { console.log(arrays[i]); } var obj1 = { id : 'yujin', age : '10' } for(var key in obj1) { console.log(key + " : " + obj1[key]); } console.log("========================"); var obj2 = { id : 'yujin', age : '10', method: function() { console.log('method'); } } for(var..